top of page

융복합센터 MOOC 강좌: 중국사상사-1

안녕하십니까! 국제융복합협회 융복합 MOOC센터에 방문해 주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국제융복합협회 융복합 MOOC센터는 홍익인간의 정신을 현대에 되살려 인간의 문제 해결과 복지증진에 이바지 할수 있도록  관련유관 강의를 누구나 학습할수 있도록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중국사상사-1 동영상 강의보기

중국사상사 [1]

 

 

-중국사상의 특징

-유교사상(선진유교~ 수당훈고학)

 

 

Ⅰ. 중국사상의 특징

 

1. 개요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발흥된 제자백가(諸子百家) 사상 중에서 역사적으로 지배계층에서 채택된 유가(儒家)가 주류를 이루며 민간에서 퍼진 도가(道家) 사상이 가세하고, 후한(後漢)시대 초에 인도에서 도입된 불교(佛敎)가 혼합되어 유불선(儒佛仙)의 3교의 혼합된 사상으로 발전하여 동양3국(한중일) 뿐 아니라 베트남 등 동남아에도 영향을 끼침

 

2. 가치관적 특성

 

[1] 자연관(自然觀) : 만물을 조화로운 하나의 유기체와 같이 파악하는 유기체적 자연관(만물이 각각 개별적인 존재가 아니라 상호 의존적인 것으로 봄)

①유교 : 자연은 만물을 낳는 것을 마음으로 삼고, 인간은 자연의 마음을 물려받아 자신의 마음으로 삼음

②도교 : 자연의 도를 깨우치고, 인간과 자연이 합일을 이룸

③불교 : 모든 존재가 상호 의존 관계에 있음- 연기설(緣起說)

 

[2] 세계관(世界觀) : 이상사회(理想社會)를 구상

①유교 : 대동사회(大同社會) : 모든 사람이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

②도교 : 소국과민(小國寡民) : 작은 단위의 다툼이 없고 욕심 없는 사회

③불교 : 불국정토(佛國淨土) : 누구나 성불하여 고통 없는 사회

 

[3] 인간관(人間觀) : 이상사회로 나아가는 과정의 실천적인 노력의 모습의 인간을 지향

①유교 : 성인과 군자(인격 완성을 위해 수양을 계속하며 사회적 책무를 성실히 수행)

②도교 : 천인과 신인(세속을 초월하고 자연의 흐름에 따라 살아가는 경지를 추구)

③불교 : 보살(청정한 불성을 되살리기 위해 깨달음과 수양을 정진하며 중생을 가르쳐 자비를 실천)

 

[4] 생사관(生死觀) : 인간의 생사에 초연하여 생사를 우주만물의 생성소멸과 자연의 섭리로 취급

①유교 : 삶도 알지 못하는데 죽음을 어찌 알 수 있겠는가 라며 현재에 최선을 다할 것을 가르침

②도교 : 삶과 죽음은 자연의 순리이므로 자연에 대한 깨달음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없앨 수 있다고 함

③불교 : 삶과 죽음은 구분할 수 없이 연결되어 있다고 봄

 

 

Ⅱ. 유교사상(儒敎思想)

 

1. 선진(先秦) 유학 - 진(秦)나라 이전의 유학

 

 

【중국의 역사와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출현】

 

1) 삼황오제(三皇五帝) 시대 : 정사(正史)에 기록이 없는 전설적인 시대

①3황 : 복희(伏羲), 신농(神農), 황제(黃帝) - 불의 사용, 농사, 의술, 직조법 등

②5제 : 소호(少皋), 전욱(顓頊), 제곡(帝嚳), 제요(帝堯), 제순(帝舜) - 법의 제정, 음악, 치수, 인륜과 효행

 

2) 역사시대 : 기록된 역사에서 왕조가 시작된 우왕(禹王)의 하(夏)나라부터 마지막 청(淸)나라까지

 

*하(夏) → 은(殷) → 주(周) →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 진(秦) → 한(漢) →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 수(隋) → 당(唐) → 송(宋) → 원(元) → 명(明) → 청(淸)

 

3) 제자백가(諸子百家) 사상의 출현 : 주(周)나라 중엽에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돌입하면서 정치적, 사회적 혼란 극심한 시대가 지속되면서 당시 사회의 혼란의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등장한 학자들의 무리를 가리킴(유가, 묵가, 도가, 법가, 음양가, 농가, 잡가 등)

 

[1] 공자(孔子)의 사상

 

1) 공자(BC. 551~479)

 

①춘추시대(春秋時代) 노(魯)나라 무관출신의 대부 숙량흘(叔梁紇)과 변방의 규수였던 안징재(颜徵在) 사이에서 출생, 얼마 안 되어 부친의 사망으로 모친에 의해 양육됨

②춘추시대 혼란의 원인을 개인의 도덕적 타락으로 보고, 혼란을 극복하고 도덕적 사회를 위해 인(仁)의 회복을 주장하는 유학(儒學)을 창시하여 많은 제자들을 양성하고 여러 제후국(諸侯國)을 전전하며 도를 설파하였으나 뜻을 이루지는 못하였지만 후대 중국역사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침

 

2) 인(仁) : 내면적 도덕성

 

①인의 성격

⒜인간됨의 본질을 이루고 있는 사랑의 정신

⒝사회적 존재로 완성된 인격체의 인간다움

⒞인(仁)으로서의 사랑이란 선(善)을 좋아하고 악(惡)을 미워하는 마음

⒟공자의 사랑은 가족적, 혈연적 사랑으로 묵자(墨子)가 주장한 무차별적인 사랑인 겸애(兼愛)와는 다름

*일모불발(一毛不拔) : 천하를 위하여 내 머리털 하나라도 뽑아줄 수 없다는 극단적 이기주의적 표현으로 양주(楊朱)의 위아설(爲我說) 곧 자기를 위하고 자기 목숨을 소중히 여기라는 주장에서 나온 말

 

②인의 실천

⒜인의 실천을 위한 기본적 덕목 : 효제(孝悌) - 부모에 대한 효도와 형제에 대한 우애를 통틀어 이름

⒝인의 실천을 위한 구체적 덕목 : 충서(忠恕)

→충(忠) : 조금의 속임, 허식 없이 자신의 온 정성을 다하는 것(내가 원하는 대로 남에게 해주려고 애쓰는 것으로 성경의 황금률(마태복음 7:12)과 비슷)

→서(恕) : 자신을 미루어 다른 사람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

*추기급인(推己及人) : 내 마음을 미루어 남에게 미친다.

*기소불욕물시어인(己所不欲勿施於人) : 자기가 바라지 않은 일을 남에게 하지 말아야 한다.

 

3) 예(禮) : 외면적 규범

-예(禮)는 인을 바탕으로 밖으로 표출된 도덕으로 인(仁)이 없는 예(禮)는 허례허식(虛禮虛飾)일 뿐

*극기복례(克己復禮) : 자신의 사욕을 극복하여 진정한 예(禮)를 회복한 사람을 군자(君子)라고 부름

 

4) 정치관

 

①덕치(德治) : 형벌보다는 도덕과 예의(禮儀)로써 백성들을 교화

-도덕적인 사회는 군주가 군주다운 인격을 닦아서 백성들의 모범이 되어야 함

*수기이안인(修己以安人) : 자기 수양을 통해 사람들을 편안하게 해줌

*북진거기소,이중성공지(北辰居其所而衆星共之) : 북극성이 그 방소에 거하였기에 모든 별이 그것을 향한다

②정명(正名) : 이름에 맞게 사는 것을 말하며 사회 구성원은 누구나 각자의 신분, 지위에 따라 역할을 해야 함

*군군신신부부자자(君君臣臣父父子子) : 군주, 신하, 아버지, 아들은 각각 군주, 신하, 아버지, 아들다워야 함

③대동사회(大同社會) : 인과 예를 통하여 올바른 도덕을 확립하고 바람직한 사회 질서를 회복함으로써 모든 사람이 더불어 잘 살 수 있는 이상사회(理想社會)를 건설

 

5) 경제 사상

 

-공정한 분배의 중요성 강조

*불환빈환불균(不患貧患不均) : 국가를 다스리는 사람은 부족한 것을 걱정하지 말고 분배가 공정하지 못한 것을 걱정해야 함

중국사상사-2 동영상 강의보기

앵커 1

[2] 맹자(孟子)의 사상

 

1) 맹자(BC. 372~289)

 

①공자가 죽고 나서 100년 정도 뒤인 전국시대(戰國時代)에 활약, 공자(孔子)-증자(曾子)-자사(子思)로 이어져 온 유가(儒家)의 학통을 계승하여 체계를 세운 인물로 공자 다음의 아성(亞聖)으로 불림

②춘추시대보다도 더욱 도덕과 사회질서가 파괴된 전국시대에 유가(儒家)의 가르침을 통해 인륜과 도덕질서의 회복을 외치는 동시에, 정치이상으로는 왕도정치(王道政治)를 내세우면서 교육과 보민양생(保民養生)으로써 부국(富國)을 이룰 수 있다면서 농업과 기술을 장려하는 민본주의 사상을 펼침

 

2) 맹자의 인의(仁義)

 

①사회적 혼란의 근본 원인 : 개인의 이기적 욕심과 의로운 일을 주저하는 두려움이 선한 마음을 가리기 때문

②사회적 혼란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 : 인간의 인(仁)과 의(義)를 회복해야 함

⒜인(仁) : 따뜻하고 포용적인 사랑

⒝의(義) : 옳고 그름을 분명하게 구분하는 덕목

③인보다 의를 강조 : 춘추시대보다 더욱 혼란해진 전국 시대의 상황에서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정의를 밝힘으로써 현실 사회의 혼란을 극복하려고 하였기 때문

④의를 키우는 집의(集義)를 통해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기를 것을 주장

 

3) 성선설(性善說) : 인간의 도덕성과 선한 본성의 고양을 강조

 

-사덕(四德)은 본성이며 사단(四端)은 마음(情)으로서 사덕(四德)을 드러내는 실마리

*사덕 : 인의예지(仁義禮智)를 가리키며 본래부터 자기 안에 들어있는 사단(四端)을 확충할 때 이룰 수 있음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 : 인간의 본성이 선하여 다른 사람의 고통을 차마 그대로 넘기지 못함

 

[사단(四端) : 마음] [사덕(四德) : 본성]

측은지심(惻隱之心) → 인(仁)

수오지심(羞惡之心) → 의(義)

사양지심(辭讓之心) → 예(禮)

시비지심(是非之心) → 지(智)

 

*성무선악설(性無善惡說) : 고자(告子)의 주장으로 인간의 본성은 착하지도 악하지도 않음

*성무선악설은 로크(J. Locke)의 백지설(白紙說) 곧 인간에게는 천부적으로 주어진 본유관념(本有觀念)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모든 관념은 후천적 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학설과 유사

 

3) 호연지기(浩然之氣) : 지극히 크고 굳세며 올곧은 도덕적 지개

 

①의로운 일을 꾸준히 실천하여 호연지기를 쌓아갈 수 있음

②누구나 성인(聖人)이 될 수 있음 : 인간의 본성이 착하다고 할지라도 후천적인 노력 없이 선한 본성 발휘할 수 없으며, 지속적인 수양만이 호연지기를 형성함

③호연지기를 갖춘 이상적 인간 : 대장부(大丈夫)라고 부름(맹자의 대장부론)

 

居天下之廣居(거천하지광거) 세상의 넓은 곳에 거처하고

立天下之正立(입천하지정립) 세상의 바른 곳에 서며

行天下之大道(행천하지대도) 세상의 큰 도를 행하여

得志,與民由之(득지,여민유지) 뜻을 얻으면 백성과 더불어 함께하고

不得志,獨行其道(부득지,독행기도) 뜻을 얻지 못하면 홀로 그 도를 행할 것이며

富貴不能淫(부귀불능음) 부귀를 얻어도 마음을 방탕케 하지 않고

貧賤不能移(빈천불능이) 빈천에 처하더라도 절개를 옮겨 놓지 않을 것이며

威武不能屈(위무불능굴) 위세와 무력 앞에서도 굴복하지 아니하니

此之謂大丈夫(차지위대장부) 이를 일러 대장부라 한다

 

4) 왕도정치(王道政治)

 

①패도정치(霸道政治)를 비판하고,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주장

*패도정치(霸道政治) : 인의(仁義)를 무시하고 무력이나 권모로 다스리는 형태의 군주정치

*왕도정치(王道政治) : 왕을 인정하지만 무력이나 강압이 아니라 인의를 기본으로 한 도덕적 교화를 통해서 정치하는 행위(국민이 주인이 되는 민주주의와는 다름)

②민본주의(民本主義)의 입장 : 백성을 나라의 근본으로 생각하고 백성의 입장에서 정치

*민위귀,사직차지,군위경(民爲貴,社稷次之,君爲輕) : 백성이 가장 귀하고 사직은 그다음이며 군주가 가장 가볍다

③민본주의적 역성혁명의 당위성 제공 : 백성을 가장 귀하게 여기지 않은 군주는 군주답지 않으므로 군주를 교체할 수 있음

 

5) 경제 사상

 

①백성의 경제적 안정을 중시(경제적 안정은 백성의 도덕성 유지의 토대)

-백성의 의식주가 넉넉한 것이 왕도정치의 시작

*항산항심(恒産恒心) : 백성은 재산이 있어야 마음이 동요하지 않는다

*무항산자무항심(無恒産者無恒心) : 일정한 직업과 재산을 가지 못한 자는 정신적으로 불안정하고 늘 동요함

*무항산항심(無恒産恒心) : 군자는 무항산이라도 항심을 잃지 않는다

②활국구민(活國求民) 다음에 덕치(德治)가 가능함

 

[3] 순자(苟子)의 사상

 

1) 순자(BC. 298~238?)

 

①전국시대(戰國時代) 말기 진(秦)이 통일 사업을 강력히 추진하였던 시대에 활약, 인간의 본성에 대해서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하고 악한 본성의 인간일지라도 모든 문제를 예의(禮儀)로써 해결할 수 있다고 함

②유가의 입장을 지키면서도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흡수하여 『순자』라는 책을 통해 선진사상(先秦思想)을 집대성함

③순자의 예의(禮儀) 사상은 제자인 한비자(韓非子) 등의 법가(法家)에 영향을 주어 진(秦)의 통일에 기여함

 

2) 순자의 인간관

 

①하늘과의 관계 : 천인지분(天人之分)

⒜하늘의 존재와 사람의 행위에는 구별이 있고, 인간은 하늘로부터 독립된 존재

⒝사람의 선악에 따른 여러 가지 행위는 하늘에 감응(感應)되는 것이 아니며 사람이 사람으로서의 할 일에 노력하면 될 뿐이라는 것

*공자와 맹자 등의 정통적 유가에서는 하늘을 도덕적 근원으로 봄

 

②인간의 본성 : 성악설(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이익을 좋아하고 본능적인 욕구를 따르는 존재)

⒜세상의 타락된 모습은 인간의 본성이 악하기 때문(이기적인 끝없는 욕심이 인간의 본성)

⒜사람의 본성은 악하여 날 때부터 이익을 구하고 서로 질투하고 미워하기 때문에 그대로 놔두면 싸움이 그치지 않음

⒝인간의 악한 본성이 교화되지 않으면 인간사회가 아름다워질 수 없음

*화성기위(化性起僞) : 본성을 변화시켜 인위를 일으킨다(인위적, 후천적 노력 중시)

 

③예의(禮儀) : 인간의 본성을 교화하고 규제하는 외면적인 도덕규범

⒜도덕적 인간의 완성을 궁극적 목적으로 함

⒝인간의 악한 본성을 고치기 위해서 예의(禮儀)를 배우고 정신을 수련- 본성을 억제하고 변화시키는 노력

⒞인간의 본성은 악하지만 인의(仁義)를 알고 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기 때문에 고칠 수 있음

⒟인간의 내면에 들어있는 인의의 도덕을 바깥으로 확충해야함

 

3) 정치관 : 예치(禮治)


①이기적인 욕심은 끝이 없고 재화는 한정됨

②군주가 외면적 사회규범인 예의(禮儀)를 통해 인간사회를 다스려야 질서있는 사회가 이루어짐

→ 좋은 나라 : 백성이 군주의 권력이 아니라 예의에 따라 살아가는 나라

→ 덕과 능력에 따라 지위와 재화를 공평무사하게 분배해야함(신분, 장유 등 정당한 차별 아래 공정한 분배)

 

앵커 2

중국사상사-1 동영상 강의보기

2. 한당(漢唐) 훈고학(訓詁學)

 

[1] 진나라의 유교 탄압

 

유가(儒家) 대신에 법가(法家)를 채택한 진(秦)나라가 전국시대(戰國時代)를 종결짓고 천하를 통일한 후 유학자들을 탄압하며 저지른 진시황(秦始皇)의 분서갱유(焚書坑儒) 사건으로 유교 침체

 

[2] 한(漢)나라 때 유교의 복원작업과 국학화

 

1) 경서의 복원과 훈고학 발전

 

①진나라 때 소실되거나 파괴된 유교(儒敎)의 경서(經書)의 복원과 그 내용에 주석을 다는 훈고학(訓詁學)이 발전

*훈고학(訓詁學) : 유교의 고전(古典)을 해석하기 위하여 주로 문자의 의미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한나라(BC. 206~ AD. 220) 때에 시작되어 당나라(AD. 618-9

[5] 당(唐)나라 훈고학의 발전

 

1) 유교의 발전

 

①당나라 과거 제도에서 유교에 관련된 서적에 대한 지식과 문학적 능력을 시험하여 관료가 되었으므로 유교와 문학이 크게 발달

②유교는 경서(經書)의 해석에 치중하여 한나라 때부터 발전해온 훈고학(경학과 주석)이 크게 발달(한당 훈고학)

③뛰어난 문장가인 한유(韓愈, 768~824)와 그의 제자인 이고(李翱) 등의 학자들이 고문(古文)운동을 전개했고 유종원(柳宗元) 등도 함께 가세하여 고문연구로서의 유교가 발전할 수 있었음

④문학은 귀족 중심의 시(詩)가 발달하여 이백(李伯)과 두보(杜甫) 등의 뛰어난 시인들이 유불선(儒佛仙)의 경계가 없는 자유로운 사상을 노래

 

2) 도교의 발전

 

①도교에 대한 황실의 지원 : 당의 황실은 노자의 성이 같다는 점에서 도교에 호의적인 태도를 가짐

*도교의 시조인 노자(老子)는 본명이 이이(李耳)였고 자는 담(聃)이었는데, 당태종 이세민(李世民)은 자신의 성이 이씨(李氏)이므로 노자의 후손이라고 자처하며 『노자도덕경』을 중시하여 신료들에게 항시 애독하게 하였음

②당나라 때 도교는 불교의 이론과 사상들을 대거 흡수하여 이론적으로 빠르게 발전

③많은 도교사상가들이 출현하였고 이들에 의해 내단(內丹) 수행론과 수련법이 발전

 

3) 불교의 발전

 

①당의 황실은 도교에 호의적이었고, 또한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삼게 되자, 불교는 종교로서의 지위와 정치적인 영향력이 이전시대에 비하여 크게 약화

②유교와 도교의 발전에 비해 불교에 대한 왕실의 지지가 낮았을지라도 왕권 강화를 위한 호국불교 성격으로 불교 역시 점차적으로 발전

③교종(敎宗)의 발전 : 불경을 비롯한 경서 중심의 불교인 교종이 선종(禪宗)보다는 왕실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발전

-AD. 1350년경 현장(삼장)법사의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를 통해 인도와 동남아시아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짐

 

④선종(禪宗)의 완성 : 달마에 의해 전해진 중국 선종이 육조단경(六祖壇經)의 저자인 6대조 혜능(慧能, 638~713, 남종선의 효시)에 의해 완성됨

-선종은 참선(參禪)을 통해 단번에 깨닫는다는 돈오를 중시함

*돈오(頓悟)와 점수(漸修) : 돈오는 한 순간에 궁극의 깨달음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하며 점수는 순서와 차례를 걸쳐 깨달음의 길로 나아가는 것을 말하는데, 선종(禪宗)은 선(禪)을 중시하는 돈오의 깨달음 방식을, 교종(敎宗)은 교학(敎學)을 중시하는 점수의 깨달음을 중시

*조계종(曹溪宗)은 한국의 대표적 선종

 

4) 기타 종교의 도입과 발전 : 당나라 때는 해상과 실크로드를 통한 국제 무역이 크게 발달하였기 때문에 조로아스터교,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마니교 등도 전파

-당나라의 종교와 문화는 아시아 각국에 영향을 미쳤고, 일본에서도 나라 시대와 헤이안(平安) 시대(794~1185)에 견당사(遣唐使)를 파견하여 당나라 문물을 수입

bottom of page